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

부의금과 조의금과 부조금의 차이점

반응형

부의금과 조의금의 차이 부의금과 조의금은 대부분 동일하게 사용합니다

 

코로나 시대로 부조금을 송금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. 저 또한 인터넷뱅킹으로 송금하는 경우가 있는데요  이런 경우 보내는 사람 항목에 쓸 단어가 혼돈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. 부조금/부의금/조의금 중 어떤 단어를 써야 할지 판단할 수 있도록 알아보겠습니다.

 

  • 부의금(賻儀金) : 초상집에 보내는 돈이라는 뜻으로 장례를 돈으로 돕는다는 의미
  • 조의금(弔意金) : 남의 죽음을 슬퍼하는 마음으로 내는 돈을 나타내는 뜻

조의금은 부의금과 한자는 다르지만 장례를 돕는다는 의미로 사용해왔기때문에 비슷한 의미입니다.

예문: 부의금을 보내다. 조의를 표하다

 

  • 부조금(扶助金) : 부의금/조의금과 달리 부조금은 경사와 조사를 모두 포함하여 쓰는 용어

예문: 결혼식 부조


그래서 부의금과 조의금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 다만, 부조금은 축의금과 부위금/조의금을 모두 포함하는

의미이므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

 

부의금/조의금의 금액은 일반적으로 3,5,7,10만원 등을 내는 게 보편적입니다. 축의금과 달리 큰 금액보다는 마음을 전하는 의미로 내면 될 것 입니다.

반응형